탑-다운 방식 어셈블리 설계에서, 파트의 하나 이상의 피처가 다른 파트의 스케치와 지오메트리와 같은 어셈블리의 요소로 정의됩니다.
설계 의도는 상위(어셈블리)에서 하위(파트)로 이동합니다. 설계 의도의 예에는 피처 크기, 어셈블리의 부품 배치, 다른 파트와의 근접성이 포함됩니다.
예를 들어 돌출 명령을 사용하여 플라스틱 파트에 지정 핀을 작성하는 경우, 곡면까지 옵션을 선택하고 다른 파트인 회로 기판의 하단을 선택합니다. 이렇게 선택하면 기판이 이후 설계 변경 시 이동되더라도 지정 핀이 기판에 닿을 정도로 길어집니다. 핀의 길이는 파트의 정적인 치수에 의해서가 아니라 어셈블리에서 정의됩니다.
방법
이러한 탑-다운 방식을 사용하여 다음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개별 피처는 지정 핀의 예와 같이 어셈블리의 다른 파트를 참조하여 탑-다운 방식으로 설계할 수 있습니다.
바텀-업 방식에서는, 그 파트가 표시되는 개별 창에서 파트 설계됩니다. 하지만 어셈블리 창에서 작업하는 동안 파트를 편집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다른 부품의 지오메트리를 참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참조할 지오메트리의 예에는 복사 또는 치수가 포함됩니다.
이 방법은 다른 어셈블리 부품과 접하는 피처가 있지만 거의 정적인 파트에 도움이 됩니다.
- 전체 파트는 어셈블리 상황에서 부품을 작성함으로써 탑-다운 방식으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 작성하는 부품은 어셈블리의 다른 기존 부품에 부착되거나 메이트됩니다. 작성하는 부품의 지오메트리는 기존 부품을 기반으로 합니다.
이 방식은 다른 파트에 대부분이나 완전히 의존해서 형태와 크기가 정의되는 브래킷과 설비와 같은 파트에 유용합니다.
- 어셈블리 전체는 부품 위치, 주요 치수 등을 정의하는 레이아웃 스케치를 먼저 작성하여 탑-다운 방식으로 설계할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3D 파트가 해당 크기 및 위치에 대한 스케치를 따르도록 위의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하여 3D 파트를 작성합니다.
신속하고 유동적으로 스케치함으로써 3D 지오메트리를 작성하기 전에 여러 버전의 설계를 시도할 수 있습니다. 3D 지오메트리를 만든 후에도, 스케치로 하나의 중앙 위치에서 많은 변경 사항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고려 사항
- 탑-다운 방식을 사용해서 파트나 피처를 작성할 때마다, 외부 참조가 참조한 지오메트리에 작성됩니다.
- 경우에 따라, 탑-다운 방식 설계의 기반이 되는 상황 내 피처가 많은 어셈블리는 피처가 없는 동일한 어셈블리보다 재생성하는 데 더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SOLIDWORKS는 변경된 파트만 재생성하도록 최적화되었습니다.
- 상황 내 피처를 작성할 때는 메이트 충돌을 만들지 않도록 하십시오. 이러한 충돌로 인해 재생성 시간이 늘어나고 예상치 못한 지오메트리 동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상황 내 피처로 작성되는 지오메트리에 메이트를 작성하지 않으면 이러한 충돌을 피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