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perelastic 재질 권장 사항

  • NR(Newton-Raphson) 반복 방법을 사용하십시오.
  • 포아송비의 값이 0.48과 0.5 미만이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변위-압력 공식을 사용하는 경우 0.499에서 0.4999 사이의 포아송비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고무와 같은 재질은 하중이 적어도 빠르게 변형되므로 초기 부하를 천천히 가해야 합니다.
  • 고무와 같은 재질을 처리하는 경우 상당히 비선형적으로 동작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하중을 빠르게 가하면 평형 반복 중 수치가 불안정(경사도에서 음의 대각항)하거나 발산될 수 있습니다. 자동 적응 스텝 알고리즘은 이러한 경우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음의 대각항이 다양한 하중률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힘 제어보다는 변위 또는 원호 길이 제어가 더 효과적임이 증명될 수 있습니다.
  • 두께 형성이 있는 쉘 요소에서 해석은 비압축률로 인한 비결합 항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단순해 집니다. 이 공식을 유도할 때 완전 비압축률(포아송비 0.5)을 가정합니다.
  • 상수 A와 B는 (A+B) > 0이 되도록 정의해야 합니다. 상수 A와 B의 값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Kao와 Razgunas의 공저를 참고하십시오(Kao and Razgunas, L., "On the Determination of Strain Energy Functions of Rubbers," Proceedings VI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Vehicle Structural Mechanics, Detroit, pp. 124-154.).